K-패스는 대중교통 이용자에게 교통비 일부를 환급해주는 정부 지원 제도입니다.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이용 금액의 일정 비율을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청년, 저소득층, 다자녀 가구 등은 더 높은 환급률이 적용되어 교통비 절감에 큰 도움이 됩니다.
👆K-패스 신청 바로가기✅ 신청 방법
1. K-패스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회원가입을 진행합니다.
2. 카드사에서 K-패스 연계 교통카드를 발급받습니다.
3. 발급받은 카드를 K-패스에 등록하면 자동으로 환급 혜택이 적용됩니다.
기존 알뜰교통카드 이용자는 별도의 카드 발급 없이 K-패스 회원 전환을 통해 기존 카드를 계속 사용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페이, iM유페이 등 모바일 교통카드도 K-패스와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대상 조건
K-패스는 만 19세 이상이며, K-패스 사업에 참여하는 지자체에 주민등록상 등록된 주민을 대상으로 합니다.
참여 지자체는 전국 17개 시·도, 189개 시·군·구로, 대부분의 지역에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분류/유형 | 기준/조건 | 지원 내용 |
---|---|---|
일반 | 만 19세 이상 성인 | 20% 환급 |
청년 | 만 19~34세 | 30% 환급 |
저소득층 |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 53% 환급 |
다자녀 가구 | 19세 미만 자녀 2명 이상 | 2자녀: 30%, 3자녀 이상: 50% 환급 |
지역 추가 혜택 | 경기, 인천, 부산 등 일부 지자체 | 환급 횟수 무제한, 추가 환급 등 |
✅ 지급 금액
월 이용 횟수와 금액을 기준으로 환급액이 산정됩니다. 최대 60회까지 적립 가능하며, 가입 첫 달은 15회 미만도 인정됩니다.
적립금은 다음 달 카드 결제금액에서 차감되며, 일부 카드사는 계좌 입금 방식도 운영합니다.
분류/유형 | 환급률 | 최대 환급액 |
---|---|---|
일반 | 20% | 20,000원 |
청년 | 30% | 25,000원 |
저소득층 | 53% | 30,000원 |
다자녀(2명) | 30% | 25,000원 |
다자녀(3명 이상) | 50% | 45,000원 |
✅ 유효기간
K-패스는 2025년 1월부터 12월까지 운영되며, 정부와 지자체의 예산에 따라 다음 해 연장 여부가 결정됩니다.
1일 2회까지만 적립 가능하며, 월 60회 초과분은 고액 이용 순으로 60회까지 인정됩니다.
일부 지자체(경기, 인천 등)는 환급 횟수 상한을 해제해 더 많은 혜택을 제공합니다.
✅ 확인 방법
공식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이용 내역, 적립 내역, 환급 예상 금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저소득, 다자녀 여부는 회원가입 후 'MY > 정보등록' 메뉴에서 서류 등록 또는 자동 연계로 확인됩니다.
환급 내역은 카드사 명세서 또는 계좌 입금 내역을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 Q&A
Q. 카드만 발급받으면 자동으로 적용되나요?
A. 아닙니다. 반드시 K-패스 홈페이지나 앱에서 등록해야 적용됩니다.
Q. 하루 3번 이상 대중교통 이용하면 모두 적립되나요?
A. 하루 최대 2회까지만 적립되며, 이용금액이 높은 순으로 2건만 인정됩니다.
Q. 서울시민인데 지방 대중교통을 이용해도 환급되나요?
A. 본인의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K-패스 참여 지자체라면 전국 어디서든 이용 가능하며, 거주지 기준으로 혜택이 결정됩니다.
👆 추가 지원금 확인하기